[Spring] @Transactional isolation level, propagation level, timeout
·
Java/Spring
오늘은 @Transactional annotation의 isolation level, propagation level, timeout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Transactional annotation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본 후에, 핵심적인 내용들을 설명드리겠습니다.  @Transacational@Transactional은 DB 작업에서 Transaction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annotationTransaction: 단일 작업 단위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작업 시퀀스,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최소 작업 단위Transcation은 commit으로 성공하거나 rollback으로 작업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복원해야 합니다.commit: Transaction이 끝나는 시점..
[Spring] Spring Security 동작 원리 파악 (id, pw 기반의 basic auth 방식)
·
Java/Spring
Spring Framwork 기반 Application에서 Spring Security를 적용하여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곤 합니다. 기능 구현 방식에 있어, 전통적인 방식인 id, pw 기반의 세션 인증 방식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방식에 대해 상세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Jwt, OAuth 기반의 인증에 대한 내용과는 별개의 내용이므로 참고 부탁드립니다. 우선 Spring Security의 개념과 관련 용어들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는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담당하는 스프링 하위 프레임워크입니다.보안과 관련해서 체계적으로 많은 옵션들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보안 관련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Spring] org.hibernate.AssertionFailure: null id in entry (don't flush the Session after an exception occurs)
·
Java/Spring
(conn=65) Duplicate entry '13-11.1.1.81' for key 'device_id_ip_UNIQUE'org.hibernate.AssertionFailure: null id in com.piolink.cc.app.ndm.domain.Host entry (don't flush the Session after an exception occurs) 해당 에러가 어떠한 에러인지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try ~ catch 문에서 save 과정을 거칠 때, unique key 제약 조건을 위반하여 첫 번째로 Hibernate Exception인 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후 JPA Save가 실패하면서 세션이 초기화되어야 하지만, H..
[Spring] Spring Batch Architecture & Component
·
Java/Spring
오늘은 스프링 배치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스프링 배치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Spring Batch는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 작업을 "자동화"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로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위에서 동작합니다. Batch 작업이라고 하면, 논리적, 물리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일괄 처리하는 작업입니다. Scheduler 기능과는 엄연히 다른 기능인데, Spring Batch에서도 스케줄러 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Spring Batch 특징확장성과 성능: Spring Batch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멀티스레딩, Chunk 기반 처리, ..
[Spring] Ajax 통신에서 Csrf Header, Token 정보를 넘겨주는 방법
·
Java/Spring
오늘은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공격을 막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Spring Security에서 csrf 설정을 활성화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고, 이 전제를 기반으로 Ajax Post 요청에서 Request Header에 Csrf Header, Token 정보를 넘겨줄 수 있게 됩니다.  CSRF 공격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왜 Client의 Request에 csrf 설정을 해줘야 하는지까지 설명드리겠습니다.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사이트 간 요청 위조) 사이트 간 요청 위조는 웹사이트 취약점 공격의 하나로,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공격자가 의도한 행위를 특정 웹 사이트에 요청하게 하는 공격하나의 사례..
[Java] ProcessBuilder
·
Java/Spring
회사에서 Selenium Web UI Test를 담당하면서 테스트 격리를 위해 DB를 기존 초기 세팅된 상태로 초기화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RDB(MariaDB)와 NoSQL(Elasticsearch)을 세팅하는 docker-compose를 재실행하면 될 거라는 막연한 생각이었지만, 이는 시간이 많이 소모되기에 cmd창에서. sql 파일을 실행하는 방향으로 갔습니다. statement를 이용하여 sql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DB 연결을 맺는 코드를 따로 작성해줘야 했기에 ProcessBuilder 클래스를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ProcessBuilder 다른 외부 프로세스를 실행하거나 컨트롤러하는 것을 지원해 주는 Java class 윈도우의 cmd, 리눅스의 sh를 이용하..
[Spring] Lightsail 배포 서버에서 Spring Application 실행 시, Encoding UTF-8 인식을 하지 못하고 한글이 깨지는 현상
·
Java/Spring
현재 진행하고 있는 캡스톤디자인2 프로젝트에서 하나의 issue가 발생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 음식 정보와 알러지 유형을 allergy.properties 파일에 따로 담아두고, @PropertySource, @Value 어노테이션을 통해 음식 정보와 알러지 타입을 불러오도록 설정파일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Application 실행 시, Local 환경에서는 인텔리제이 설정(File Encoding -> UTF-8)을 통해 한글이 깨지지 않고 해당 정보들이 잘 읽어왔습니다. 하지만, Lightsail 서버에서는 한글이 다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Application이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시도 1. Lightsail에도 UTF-8 설정 (해당 블로그 참조 : https://chucoding.tisto..
[Spring] @PropertySource, @Value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보자
·
Java/Spring
개발을 할 때, Property 파일을 resource 폴더 내에 만들어 두고 필요할 때 해당 값을 많이 읽어옵니다. 주로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이나 Property 파일의 속성을 주입할 때 사용합니다. 즉, @PropertySource 어노테이션을 통해 외부의 설정 파일(.properties, .yml)을 읽어와 해당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제 @PropertySource, @Value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ropertySource("value = "classpath:allergy.properties") classpath:allergy.properties 경로에 있는 설정 파일을 읽어옵니다. Environment 객체를 이용해서 해당 설정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Spring] JPA Auditing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일자, 수정일자 컬럼의 데이터 형식을 깔끔하게 지정하는법
·
Java/Spring
JPA Auditing 기술은 엔티티를 생성 및 변경할 때, 생성시간, 수정시간 등을 자동으로 삽입해 주는 기능입니다. Audit은 감사하다, 추적하다의 의미를 지니는데, Auditing 기술을 이용하면 마지막에 데이터를 생성 및 수정한 사람과 시간을 추적할 수 있게 됩니다. 우선, Auditing 기술을 사용하게 위해, SpringApplication.class에 다음과 같은 어노테이션을 지정해줘야 합니다. @EnableJpaAuditing public class Exercis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ExerciseApplication.class, args); } } 다음으로 생성시간, 수..
[Spring] DTO, VO 이 둘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
Java/Spring
저는 DTO랑 VO를 구분하지 않고 비슷한 맥락으로 보고 있었는데요. 이 들의 차이를 구분하고 어떤 상황에서 DTO를 도입하고, VO를 도입해야 하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TO(Data Transfer Object) 순수하게 데이터를 담아 계층 간으로 전달하는 객체, Getter/Setter 메서드만을 가집니다. "데이터 전달"이 주목적입니다. 이를 통해 보내는 쪽에서 setter를 이용하여 값을 담아 전달하고, 받는 쪽에서는 getter를 이용하여 값을 꺼내서 쓰게 됩니다. setter의 경우, 변조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setter 사용 지양) 생성자로 값을 넣어주면, 전달하는 과정에서 변조가 불가능합니다. VO(Value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