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76

[메타코딩 17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프로세스 이해)

프로세스 이해 CPU(연산장치) RAM(저장장치, 휘발성, 1G Byte) =>용량이 부족해서 한계가 있다. HDD, SDD(30G Byte) =>Tomcat8(100mB) 설치 후 실행에 필요한 부분(핵심 기능들)만 RAM에 끌어올린다(Load) =>이러한 과정은 프로세스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CPU와 RAM과 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CPU 1개 - 노동자 1명 - 프로세스 1개(Tomcat8(서버-데몬(계속 실행중)) =>노동자 1명이 Thread(실, 수명..)을 만들어준다. =>Thread를 통해 Context-switching(문맥-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Thread를 통해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

DevOps/AWS 2022.09.28

[메타코딩 16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ppt 저장소 사용)

sudo apt-cache search tomcat : 저장소 목록에 있는 tomcat의 목록을 보여준다. sudo apt remove tomcat9 : tomcat9 삭제(설정 파일을 지우지 않음) sudo apt --purge remove tomcat9 : tomcat9 삭제(설정 파일까지 모두 삭제) ppa 저장소 설치 https://launchpad.net/ubuntu/+ppas Personal Package Archives : Ubuntu Ubuntu also includes a wide variety of software through its network of software repositories. Once your system is installed you can simply call u..

DevOps/AWS 2022.09.28

CS스터디 2주차 Computer Architecture & Java

cs 스터디 2주차 내용 Computer Architecture 고정 소수점 / 부동 소수점 패리티 비트 / 해밍 코드 ARM 프로세서 Java 고유 락 문자열 클래스 Garbage Collection Primitive type & Reference type 고정 소수점, 부동 소수점 =>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고정 소수점, 부동 소수점 2가지가 있다. 고정 소수점(Fixed Point) : 소수점이 찍힐 위치를 정해놓고 소수를 표현하는 방식(정수 + 소수) -0.1234는 부호(-), 정수부(0), 소수부(0.1234)가 필요하다. 장점 : 실수를 정수부, 소수부로 나타내어 단순하다. 단점 : 표현의 범위가 너무 적어서 활용하기 힘들다.(정수부는 15 bits, 소수부는 16 bit..

CS 2022.09.28

[메타코딩 15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apt 실습)

리눅스 명령어 apt 실습 apt-cache search tomcat => apt 저장소 목록에 tomcat이 있는지 검색 apt-cache search tomcat | grep tomcat => tomcat을 찾아낸다 apt list | grep tomcat apt install tomcat9 sudo apt update (리눅스 - 최상위 관리자 root) (ubuntu) sudo apt install -y tomcat9 tomcat(웹 서버=> 포트 활성화) 포트가 어떻게 활성화되었는지 확인 sudo apt install net-tools netstat -nlpt(port number 조회) 인바운드 규칙 설정(어떤 포트에 대해서만 내 컴퓨터에 접속을 허용) Tomcat9이 설치되었는지 local에..

DevOps/AWS 2022.09.26

[메타코딩 14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apt 이해)

우분투(OS)(CLI, 그래픽 x) =====> 해당 사이트로 이동 wget으로 다운로드 => 압축풀기(tar) => .deb => 설치 명령어 각각의 사이트로 들어가서 다운로드 하기가 굉장히 번거롭다 우분투에서 A,B,C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기 =>ubuntu repository에 A, B, C에 대한 프로그램)ex)http://hello.com이 담겨있다.(사이트 이동이 필요없음) 1. 우분투 레포지토리 접근 /etc/apt/source.list => 레포지토리 경로(http://hello.com) 등록 2. apt update => 레포지토리에 새로 생긴 프로그램들에 대한 목록을 갱신해준다. 3. apt install A프로그램 다운로드 자동설치 PPA 저장소 => 개인 저장소(새롭게 생긴 프로그..

DevOps/AWS 2022.09.26

[메타코딩 13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3탄)

cp : 파일 복사 mv : 파일 이동, 파일명 변경 ln -s(소프트 링크) - 바로가기 파일을 생성 bin 폴더 - 실행파일이 모여 있는 곳 mv 파일명 폴더명 : 해당 파일을 폴더에 이동 mv 파일명1 폴더명/파일명2 : 해당 파일명1의 이름을 파일명2의 이름으로 바꾸고 폴더에 이동 mv 파일명1 파일명2 : 해당 파일명1의 이름을 파일명2로 바꾼다. ln -s 파일명1 파일명2 : 해당 파일명1의 바로가기 파일 파일명2를 만들어준다. https://www.youtube.com/watch?v=DOzIhY7Lm9Y&list=PL93mKxaRDidFjQjPAzi9UxCdo2gtR-fue&index=13

DevOps/AWS 2022.09.22

[메타코딩 12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2탄)

명령어 2탄 ls --help : 모든 명령어의 사용법을 알려줌. ls -all : 모든파일(숨김파일(OS의 중요한 파일), 기본파일, 기본폴더)를 보여준다. mkdir : (폴더 생성) touch : (파일 생성) rm : (삭제) rm -r 폴더명 : (폴더 삭제) rm 파일명 : (파일 삭제) cmd + c (취소) https://www.youtube.com/watch?v=Yx84tMeksrs&list=PL93mKxaRDidFjQjPAzi9UxCdo2gtR-fue&index=12

DevOps/AWS 2022.09.22

[메타코딩 11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1탄)

-SHELL -사용자-OS(우분투)-컴퓨터가 대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언어 명령어 모음 clear : 화면을 깨끗하게 만들어준다. pwd : 현재 어느 경로에 있는지 확인 cd .. : 폴더 이동(한칸 위로 올라간다) / : ubuntu에서의 최상위 경로 cd 경로(절대경로 - 상대경로) : ls : 현재 폴더에 있는 파일과 파일의 상태를 보여준다. ls -l : 폴더에 있는 파일들의 상태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폴더와 파일 구분법 : 색칠이 있는 부분 => 폴더, 색칠이 없는 부분 => 파일 다음 파일의 왼쪽에 -가 있으면 파일, -가 없으면 폴더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7wAudkkCedk&list=PL93mKxaRDidFjQjPAzi9UxCdo2gtR-fue&in..

DevOps/AWS 2022.09.22

[메타코딩 10강] AWS 내용정리(RSA 인증방식)

RSA 인증방식 A와 B에게 데이터(민감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때 중간에 있는 C가 데이터를 가로챌 수 있다. 이러한 민감한 데이터 정보를 암호화(K라는 열쇠를 통해 암호화) 해서 B에게 전송한다. B는 K라는 열쇠를 통해 복호화해서 데이터를 받게 된다. => 대칭키 암호화 방식(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의 열쇠가 동일) C는 K라는 열쇠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RSA는 이를 보완하기 K를 2개를 가지게 된다 => 공개키 암호화 방식(RSA)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공캐키로 잠그는 것이다.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받는 방법 1. 데이터를 수신자의 공개키(암호화)로 잠근다. 4. 데이터를 송신자의 공개키(서명)로 연다 2. 그 데이터를..

DevOps/AWS 2022.09.22

[메타코딩 9강] AWS 내용정리(EC2서버와 방화벽)

EC2 서버와 방화벽 EC2서버 - 인프라(운영체제, 톰켓, 자바) AWS 사이트 접속 -> 우분투 운영체제 선택 -> 컴퓨터 임대(우분투 운영체제 설치) 로컬 컴퓨터 -----------------원격 접속(IP주소 : 22(포트번호), 원격 Shell 명령(CLI 환경)이 가능하다.)------------> AWS에 존재하는 컴퓨터(방화벽 존재, 모든 포트 차단(0~65535) 방화벽에서는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해야한다.(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기 위한 규칙 설정), 22번 포트번호를 개방해야한다. 22번 포트 : SSH(Secure(보안), Shell(쉘)) 원격으로 보내는 명령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 SSH를 사용한다. 암호화가 돼서 명령어가 전송된다. 쉘(Shell) : 사람이 OS에게 내리..

DevOps/AWS 2022.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