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A 인증방식
A와 B에게 데이터(민감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때 중간에 있는 C가 데이터를 가로챌 수 있다.
이러한 민감한 데이터 정보를 암호화(K라는 열쇠를 통해 암호화) 해서 B에게 전송한다.
B는 K라는 열쇠를 통해 복호화해서 데이터를 받게 된다. => 대칭키 암호화 방식(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의 열쇠가 동일)
C는 K라는 열쇠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RSA는 이를 보완하기 K를 2개를 가지게 된다 => 공개키 암호화 방식(RSA)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공캐키로 잠그는 것이다.
데이터 전송 방법 | 데이터 받는 방법 |
1. 데이터를 수신자의 공개키(암호화)로 잠근다. | 4. 데이터를 송신자의 공개키(서명)로 연다 |
2. 그 데이터를 다시 송신자의 비밀키(전자서명)로 잠근다. | 5. 열리면 수신자의 개인키(복호화)로 연다. |
3. 전송한다. |
대칭키 : 키 전송에 문제가 있다.(키가 한개이기 때문이다)
공개키 : 키가 2개이다(A, B의 공개키, 비밀키가 존재) => 키 교환이 필요 없다.
<자료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Q1X26fsqPUc&list=PL93mKxaRDidFjQjPAzi9UxCdo2gtR-fue&index=10
'DevOp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코딩 12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2탄) (0) | 2022.09.22 |
---|---|
[메타코딩 11강] AWS 내용정리(리눅스 명령어 1탄) (1) | 2022.09.22 |
[메타코딩 9강] AWS 내용정리(EC2서버와 방화벽) (0) | 2022.09.22 |
[메타코딩 8강] AWS 내용정리(IP주소, 패킷, 포트번호 이해하기) (0) | 2022.09.21 |
[메타코딩 7강] AWS 내용정리(EC2서버 Mac에서 접속하기)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