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Network] Switch 와 Bridge 비교

SeungbeomKim 2023. 7. 13. 23:01
반응형

스위치와 브리지는 Data Link layer (OSI 2계층)에서 작동한다는 부분과 특정 포트에게만 프레임을 전송한다는 부분에서 꽤 비슷합니다. 하지만 이들 간에도 차이가 있는데, 그 차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들은 모두 송신자/수신자의 물리적 주소(MAC)를 기준으로 프레임을 필터링합니다. 공통된 기능은 동작 방식에서 스위치, 브리지 모두 Store and Forwarding(Frame을 모두 받아들이고 처리 -> 이후 Error 발견시 해당 Frame을 버리고 재전송 요구) 방식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브리지는 순수하게 2계층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지만, 최신 스위치에서는 라우터에 기능도 포함되고 이를 IP 스위치라고 합니다. 이제 최신 스위치(L3)를 제외하고 이들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스위치와 브리지의 차이점

  1. 브리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 스위치는 하드웨어적으로 동작(속도 측면에서 스위치가 우세)
  2. 브리지는 포트 별로 같은 속도를 지원하지만, 스위치는 포트 별로 다른 속도 지원
  3. 브리지는 포트 수가 오직 2개지만, 스위치는 브리지보다 많음
  4. 동작 방식
    1. 스위치: Store and Forwarding, Cut Through(Frame DS만 확인), Fragment Free(Store and Forward + Cut Through) 지원
    2. 브리지: Store and Forwarding만 지원

브리지는 포트가 2개밖에 없기에 소규모 네트워크(LAN)에서 세그먼트 분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그리고 스위치는 대규모 네트워크(라우팅을 지원하는 최신 L3 스위치),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모두 사용됩니다.  

 

<참고 자료>

https://ipwithease.com/difference-between-a-switch-and-a-bridge/

 

Bridge vs Switch - Know the Difference - IP With Ease

Bridges and Switches are pretty similar, both operate at the Data Link layer (Layer 2) and both can filter data so that only the appropriate segment or host

ipwitheas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