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Network] WPS(Wi-Fi Protected Setup)란 무엇인가 ?

SeungbeomKim 2023. 7. 13. 00:11
반응형

오늘은 WPS(Wi-Fi Protected Setup, 와이파이 보호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공유기에 달려있는 WPS 버튼 하나로 간편하게 보안 설정 및 WLAN 연결 지원

 

WPS이란?

  1.  복잡한 보안 설정 없이도 무선 연결 및 보안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화된 방법 및 기술
  2.  공유기와 연결하려는 기기가 WPS 기능을 지원하면 기기를 연결할 때 간편하게 무선 보안 접속이 가능(프린터, 공유기에서 활용)
  3.  PC에서 프린터기를 이용하기 위해 무선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번거로움 해소
  4.  WLAN에 연결하기 위해 새 장치에 암호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기존에 A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SSID, PW 등을 알고 있어야 했음)

 

WPS를 이용하기 위한 4가지 방법

가장 보편적으로 PIN, PBC(Push Button Connection)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지만, 저는 상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공식 문서를 많이 참고했습니다. Optional 한 방법에 대해서도 기록하려고 합니다. 

  1. PIN(8자리 코드를 입력 후 해당 기기와 페어링 하는 방식, 권장 X)
    • 4자리씩 끊어서 확인하는 방식이라서 Brute-Force Attack으로 공격자가 쉽게 암호 해독이 가능하고, WPA의 사전 공유키(Pre-Shared Key)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 Reaver(Wi-Fi Protected Setup Attack Tool for Linux)를 이용하면 손쉽게 해독 가능
  2. PBC(Push Button Connection, 무선 공유기에 WPS 버튼을 누르면, 무선 기기와 자동으로 공유기에 페어링, PIN보다 안전)
    • PIN을 입력하는 대신, 무선 라우터에 버튼을 눌러 짧은 시간만 연결 설정
    • 라우터의 암호, Wi-Fi 암호를 모르더라도 손쉽게 연결 가능
    • 하지만, 특별한 암호화가 없기에 공격자가 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을 Sniffing하여 불법적인 접근의 우려가 존재
  3. Near-Field Communication(근거리 통신, Optional)
    • 사용자가 장치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클라이언트를 액세스 지점에 가깝게 만들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
  4. USB(Optional, 현재 사용 X)
    • 사용자가 USB Flash Drive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를 액세스 지점에 가깝게 만들어야 하는 경우 

 

현재 저희가 편하게 사용하는 공유기와 프린터기에 WPS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간편하게 버튼만으로 보안 설정(AP, SSID, PW, Adapter 등..) 설정해줄 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됩니다. 핸드폰에는 WPS 기능이 보안적인 이유로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회사, 학교,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유기와 프린터기에서 지원하고 있는 WPS의 역할과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