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Network] WLAN의 네트워크 환경 2가지 mode(Ad-Hoc mode, Infrastructure mode)

SeungbeomKim 2023. 7. 9. 22:06

WLAN(Wireless LAN)의 네트워크 환경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첫 번째는 Ad-Hoc Mode인데, Ad-Hoc 모드는 Access Point(무선 LAN과 유선 LAN을 연결해 주는 장치) 없이 각각의 Device 끼리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환경입니다.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통신을 주고받기에 Peer-to-Peer Network이고, Bluetooth가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Infrastructure Mode 입니다. Infrastructe Mode는 각 device가 Access Point를 거쳐 다른 device와 통신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상세한 과정은 뒤에 설명드리겠습니다.

 

 

1. Ad-Hoc Mode(=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 컴퓨터와 프린터기 연결, 독립적인 장치간 연결에서 많이 사용
  • 두 장치를 연결하려는 경우 설정이 더 쉬워지기에, 이러한 경우에 사용
  • infrastructure 장치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장치와 소통할 수 없습니다.
  • Ad-Hoc 모드에서는 네트워크에서 참여하려는 장치가 송, 수신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2. Infrastructure Mode

  • 통신하기 위한 모든 device는 AP를 필요로 합니다.
  • AP는 WLAN/LAN에서 사설 IP할당, 라우터, 브리지의 역할을 담당
  • ex) 한 Laptop에서 다른 Laptop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AP를 거쳐 해당 패킷이 전달됩니다.
  • 대부분의 무선 네트워크는 Infrastructure mode에서 작동합니다.  

Infrastructure Mode를 이해하기 위해 숙지해야 할 개념

  • AP(Access Point) : 유선 LAN과 무선 LAN을 연결해 주는 장치, 다른 AP의 단말에 연결해 주는 기능도 지원
  • STA(Station) : Wi-Fi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클라이언트 장치(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 BSS(Basic Service Set) : 하나의 AP에 연결된 STA의 그룹, 하나의 BSS에는 SSID(네트워크 식별자), BSSID(AP의 식별자)가 담겨 있습니다.
  • ESS(Extended Service Set) :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DS에 여러 개의 BSS가 통합된 그룹이자 여러 AP들이 동일한 ESSID(ESS의 SSID)를 가지고 있는 그룹, 흔히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여러 AP들이 하나의 ESSID를 가지고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실생활에서의 Ad-Hoc Mode, Infrastructure Mode 예시

 

1. Ad-Hoc Mode 예시

  1. 에어팟 연결 (휴대폰과 에어팟이라는 독립적인 장치간 직접적인 연결)
  2. 노트북 간 파일 공유 (대학교, 회사 내에서 각자의 파일을 주고받는 경우)
  3. 비상 상황에서의 통신(긴급한 상황에서 휴대폰이나 기타 장치 등을 Ad-Hoc Mode로 설정하면 다른 사용자들과 통신이 가능)

2. Infrastructure Mode 예시

  1. 집에서의 Wi-Fi 네트워크(가정에서 사용하는 Wi-Fi 네트워크는 라우터나 WAP를 통해 여러 장치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
  2. 사무실 내부의 기업 네트워크: 기업이나 사무실 환경에서는 Infrastructure Mode를 사용해서 다양한 장치들이 회사의 네트워크에 연결, 모든 장치들이 중앙 집중식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
  3. 공공장소에서의 Wi-Fi(공항, 카페, 호텔 등의 Wi-Fi 서비스는 Infrasturcture Mode입니다. 모든 AP들이 동일한 ESSID를 갖고 대규모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음)

 

<참고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EjJENUg3qDw